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8

건축재료 목재의 분류 및 용도, 조직과 성분 건축재료인 목재의 분류 및 용도, 조직과 성분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목재의 분류 및 용도 목재는 나무의 성장상황, 나무의 외관과 재질, 사용되는 용도 등에 따라 여러 가지의 종류로 분류할 수 있지만 보통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분류합니다. 성장 상황에 따른 분류 목재를 성장 상황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는 외장수, 내장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장수는 곧고 길게 자라고 나이테가 있으며 섬유조직이 고릅니다. 따라서 구조용으로 주로 사용되는데 외장수로는 침엽수, 활엽수가 있습니다. 침엽수는 소나무, 낙엽송, 전나무, 참나무, 나왕, 미송 등이 있고 활엽수는 오동나무, 밤나무, 느티나무, 참나무, 박달나무 등이 있습니다. 내장수는 길게 자라지만 가로로 잘랐을 때 나이테가 생기지 않는 나무를 말하는데 외장수와 .. 2023. 4. 18.
건축재료 목재란? 목재의 장점과 단점, 단점의 보완법 과거부터 현재까지 건축재료로 오래 사용되어 온 목재란 무엇일까요? 목재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단점을 보안할 수 있는 보안방법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목재란? 건축재료로의 목재는 과거부터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로 고대부터 지금까지 오랜 시간 사용되고 있습니다. 목재는 구조용 뿐 아니라 내장재, 외장재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구조용 재료로도 많이 사용하였지만 현대에 와서 구조용 재료로는 많이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목재는 타기 쉽고 내구성이 부족하며 철골이나 철근콘크리트 등 구조재로 적합한 다른 재료들이 많이 생겨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목재는 구조용 재료에서 장식용도로 용도가 바뀌고 있습니다. 하지만 나무로 만든 목조건축물에 대한 인기가 높아져 목조건축물이 다시 늘어나고 있.. 2023. 4. 17.
건축재료로의 점토, 세라믹 건축재료로서의 점토, 그리고 점토를 이용해 만드는 세라믹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점토란 암석이 오랜 세월에 걸쳐 풍화, 분해된 조밀한 입자를 말하는데 물을 머금으면 끈끈한 점성이 생기는 상태가 되며 건조할 경우 단단해지고 고온에 구우면 딱딱해집니다. 점토는 잔류점토(1차 점토), 침적점토(2차 점토)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둘의 차이는 입자의 크기 차이라 볼 수 있습니다. 잔류점토는 암석이 풍화된 것으로 처음의 장소에 남아 있는 것을 말하고 침적점토는 물이나 암석이 풍화된 것이 물이나 바람에 의해 다른 장소로 이동해 옮겨진 것으로 가공성이 좋고 물을 섞을 때 원하는 형태로 만들기 쉬워 도자기의 원료로 적당합니다. 점토의 성질 점토의 성질을 이야기 하기에 앞서 점토는 자기용 흙이나 카오린인 순수한 점토는.. 2023. 4. 16.
석재의 채석, 가공 및 석재 제품 석재의 채석, 가공 방법 및 석재로 만들어진 제품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석재의 채석 석재의 채석은 석재를 채취하는 것을 말합니다. 석재를 채취하기 위한 장소를 채석장이라고 합니다. 화강암과 같은 경석류는 절리와 암석이 쪼개지기 쉬운 면에 따라 구멍을 뚫은 후 다이너마이트로 폭파하여 큰 석재를 채굴합니다. 연한 돌의 경우 곡괭이나 돌 자르는 톱으로 잘라냅니다. 채취하는 방법은 정이나 쇄기 등으로 사람이 채취하는 인력체취, 채석용 바드릴, 화염분사식 절단기 등의 기계를 이용해 채취하는 기계체취, 그리고 폭약으로 인한 체취로 나뉩니다. 석재의 가공 - 표면 마무리 석재의 사용용도에 따라 석재의 가공은 손다듬기, 갈기 및 광내기, 화염처리 등으로 표면을 마무리합니다. 손 다듬기는 가장 전통적인 가공 방법으.. 2023. 4. 15.
석재의 장점과 단점, 물리적 성질, 화학적 성질 석재가 가지는 장점과 단점, 물리적 성질, 화학적 성질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석재의 장점과 단점 석재의 장점과 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석재의 장점 석재의 장점은 압축강도가 크며 물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처음의 상태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질이나 변화가 적으며, 산이나 염기에 견딜 수 있는 내화학성이 높습니다. 불에 타지 않으며 마모가 잘 되지 않습니다. 재질이 치밀하고 광택이 우수합니다. 외관이 웅장하고 위엄 있으며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며 여러 색조의 표현이 가능합니다. 석재의 단점 길고 큰 석재를 구하기 어려워 구조용으로 사용하기 적절하지 않습니다. 압축강도가 높은 것에 비해 인장강도는 적습니다. 비중이 크고 가공이 어려우며 화재 시 석재의 종류에 따라 균열이 생겨 재사용이 곤란하게 될 때가.. 2023. 4. 14.
건축재료 석재의 정의, 구성, 분류 오늘은 건축재료 중 역사 속에서 오래 사용되어 온 재료 중 하나인 석재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석재의 정의 석재는 암석을 잘라 필요한 모양으로 만든 것을 말합니다. 석재는 흙, 모래와 함께 인간이 가장 오래 사용된 건축 재료라 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 석재와 함께 주로 사용되던 재료인 흙이나 목재에 비해 석재는 내구성이 아주 뛰어납니다. 이러한 석재는 오래전부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는데 석기시대의 무기부터 기록을 남기는 용도의 판,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고인돌과 같은 돌무덤, 영국의 스톤헨지 등과 같이 조상과 신을 숭배하는 조형물로도 사용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집트의 피라미드처럼 종교 건축에서도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철기시대가 도래하면서 석재를 더 정교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되었는데 그리스의.. 2023.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