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8 건축 접합재료 - 실링재 실링재란 퍼티, 코킹, 실링재, 실란트 등의 총칭입니다. 건축물의 프리패브 공법, 커튼월 공법 등의 공장 생산화가 추진되면서 더욱 주목받기 시작한 재료입니다. 사용 시에는 페이스트 상태의 유동성을 가지는 재료입니다. 공기 중에서 경화되면 탄성이 풍부한 고무 형태의 고체가 됩니다. 접착력이 크고 수밀성, 기밀성이 풍부하여 창호, 조인트의 충전재로 가장 적당한 재료입니다. 조인트 부분의 수밀성,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링재는 아래와 같은 기본적 요건이 요구됩니다. 실링재의 기본요건 ●부재와 부재 사이를 접착, 충전시키고 연속적인 방수층을 형성할 것. ●조인트에 움직임이 생겨도 그 움직임에 따라 변형하여 파단, 박리를 일으키지 않을 것. ●옥외에서 태양광선이나 풍우의 영향을 받아도 소기의 기능을 유지할 것... 2023. 5. 20. 건축 접합재료 - 접착제 접착제란 각기 다른 재료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물질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교착제라고도 불립니다. 건축용 접착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근대부터입니다. 합성수지계 접착제의 개발로 인해 금속, 유리, 시멘트 등의 제품들도 결합시킬 수 있어 건축용 복합재료의 생산이나 내장공사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접착제의 구성요소는 5가지가 있습니다. 접착제에서 접착성을 부여하는 성분을 주결합제라고 하며 합성수지, 고무, 역청질 등이 사용됩니다. 주결합제를 용해, 희석시키는 용제와 주결합제에 유연성을 주는 가소제, 외관상의 점도를 높이고 접착제의 가격을 낮추는 충전재 및 접착제를 보정하는 조제 등이 있습니다. 접착제에 요구되는 성능 ●충분한 유동성 ●사용조건의 상태에서 필요 접착강도 ●고화시 체.. 2023. 5. 19. 건축 접합재료와 접합철물 일반적인 건축물은 여러 종류의 다양한 재료나 부재, 부품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접착, 접합되어 조립됩니다. 또 건설현장에 반입되는 패널이나 기둥, 보와 같은 부재도 그 사용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재료가 접착, 접합되어 성능의 향상을 이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새로운 소재나 공업이 개발되면서 새로운 접착, 접합방법도 개발되기 때문에 건설에서 사용되고 있는 접착제나 접합재료, 접합부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건축재료나 부재 및 부품의 접합방법 아래의 방법은 접합부에 요구되는 성능과 기능에 따라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복합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화학적 접합 접착제 혹은 용제를 사용해서 피결합재의 상호 간 접촉면을 접합시키는 방법입니다. ●기계적 접합 못, 각종 볼트, 듀벨 등의 접합철물과 .. 2023. 5. 18. 건축 음향재료 음향재료란? 음향재료는 음의 흡수, 반사 차단 등 건축적인 음향처리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재료를 말합니다. 흡음률은 물체에 투사한 음의 에너지에 대해 흡수된 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 흡음률은 재료와 흡음 부분의 흡음성능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흡음재료의 종류와 특성 흡음재료는 비교적 고음역 흡음률이 좋은 다공질재료, 판재와 공기층의 공진기구, 공기층에 의한 공명기구, 흡음보드 종류 등이 있습니다. 흡음기구는 단일재료에 의해 얻어지는 경우 여러 종류의 재료로 조합된 경우가 있지만 흡음재료로 불리는 경우 보통 단일재료로 의해 얻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다공질의 재료는 단열재료임과 동시에 흡음재료인 경우가 많습니다. 암면 암면은 흡음, 단열성이 풍부한 단열재입니다. 글라스움과 함.. 2023. 5. 17. 건축 단열재료 단열재료란? 단열재료는 열전도율이 작아서 열을 차단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말합니다. 금속재료가 내장재료나 외장재료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단열재의 수요가 증가해서 단열재료가 많이 개발되고 있어 단열재료의 종류가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단열재료의 단열성은 보통 일반적으로 열전도율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벽체 각각의 면에 온도차가 있는 경우 고온인 면에서 저온인 면으로 열이 흐르게 됩니다. 벽에 의해 구분된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열이 흘러가는 것은 대류, 전도, 복사 세 가지를 종합해서 열관류율로 표현합니다. 단열재료의 특성 단열재료의 특성은 온도에 의한 열전도율의 변화, 밀도에 의한 열전도율의 차이, 습기, 수분이 열전도율에 미치는 영향, 열전도와 복사 등으로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2023. 5. 16. 건축 방화재료 불연재료의 종류 건축 방화재료의 하나인 불연재료는 시멘트 모르터, 콘크리트, 석면 슬레이트, 회반죽, 벽돌, 점토, 철강, 알루미늄, 유리 등과 같은 연소하지 않는 건축자재를 말합니다. 이와 같은 불연재료가 건축물에 화재가 났을 경우 어떤 온도에도 같은 성질과 같은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것은 화재가 났을 때 빨리 가열온도가 올라가서 녹거나 해를 입어 금이 가는 것도 존재합니다. 내화재료란 일반적으로 불연재료라 불리는 것 중에서도 높은 온도에서 열적 성질이 뛰어나고 내력의 저하와 큰 변형을 갖지 않는 소위 내화성능이 우수한 재료를 말합니다. 구조재료로 콘크리트와 석재, 벽돌등이 내화재료에 해당됩니다. 철강재료는 고층건축에 자주 이용되지만 400도부터 강도와 탄성이 저하되고 500~600도.. 2023. 5. 15.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