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재의 채석, 가공 방법 및 석재로 만들어진 제품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석재의 채석
석재의 채석은 석재를 채취하는 것을 말합니다. 석재를 채취하기 위한 장소를 채석장이라고 합니다. 화강암과 같은 경석류는 절리와 암석이 쪼개지기 쉬운 면에 따라 구멍을 뚫은 후 다이너마이트로 폭파하여 큰 석재를 채굴합니다. 연한 돌의 경우 곡괭이나 돌 자르는 톱으로 잘라냅니다. 채취하는 방법은 정이나 쇄기 등으로 사람이 채취하는 인력체취, 채석용 바드릴, 화염분사식 절단기 등의 기계를 이용해 채취하는 기계체취, 그리고 폭약으로 인한 체취로 나뉩니다.
석재의 가공 - 표면 마무리
석재의 사용용도에 따라 석재의 가공은 손다듬기, 갈기 및 광내기, 화염처리 등으로 표면을 마무리합니다. 손 다듬기는 가장 전통적인 가공 방법으로 쇠메, 정, 도드락망치, 날망치 등을 사용하여 두드리는 횟수와 간격을 정해 마무리 정도를 정하는 다듬기 방법입니다. 외장이나 바닥용 석재로 사용될 때 주로 사용합니다. 석재의 손다듬 가공은 혹두기, 정다듬, 도드락다듬, 잔다듬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혹두기 다듬이 가장 거칠고 잔다듬이 가장 곱게 다듬어집니다.
혹두기는 쇠메로 요철 없게 대강 다듬어 마무리하는 가공법입니다.
정다듬은 정으로 가공하는데 정 자국의 수가 100㎠ 안에 15개인 경우 거친정이라 하며 100㎠안에 정 자국이 25개인 경우 중정, 정자국 수가 100㎠ 안에 70개인 경우 고운 정이라 합니다.
도드람다듬은 도드락망치를 이용한 손다듬가공법으로 거친 도드락 다듬은 25㎠ 안에 눈 수가 25눈 일 경우를 말하며 중 도드락은 25㎠안에 64눈이 있을 경우를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25㎠ 당 1000눈이 있는 경우 고운도드락다듬이라 말합니다.
잔다듬은 날망치를 이용한 손다듬 가공법이며 거친 잔다듬, 중 잔다듬, 고운 잔다듬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는 날망치의 날 간격에 따라 구분됩니다.
석재 제품
석재 제품은 인조석 외 암면, 퍼라이트, 석면판, 질석이 있습니다.
인조석
대리석, 화강암 등의 종석과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안료를 섞은 뒤 물로 섞어 단단하게 굳히는 것을 말하며 표면의 마무리 처리를 천연 석재와 비슷한 색과 성질을 갖게 만든 인공의 재료를 인조석이라고 부릅니다. 천연석분 혼입품, 착색제 혼입품, 테라조로 나뉘는데 천연석분 혼입품은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와 종석 조각을 넣어 만든 것을 말하고 착색제 혼입품은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와 안료를 넣어 만든 것이며 테라죠는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와 안료, 대리석 조각을 넣어 만듭니다. 앞에서 말했듯 대리석 계통의 인조석을 테라조라 부르며 화강암, 안산암 계통의 천연석재와 닮은 것을 의석이라 부릅니다. 테라조 블록은 현장에서 그대로 물건을 붙일 수 있도록 만든 것을 말하며 최근에는 다른 종류의 종석을 혼합한 것처럼 천연색과 다른 여러 색조 역시 제작되어 건축의 마무리를 담당하는 마감재료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암면
암면은 현무암, 안산암, 사문암 등을 적절하게 열을 가하여 액체 상태로 만든 후 미세한 구멍으로 분출시키고 이와 동시에 고압의 공기로 빨아들여 면처럼 만든 후 무기질 결합제나 두께 12㎜의 판으로 만들어 천장재료 등으로 사용됩니다. 불연성, 흡음성, 단열성이 높고 연질이기에 다른 재료 위에 까는 깔판, 덮개로 사용할 수 있는 판상으로 형성하거나 실내용 붙임 재료로 사용됩니다. 석면이 건강에 치명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석면 대신 암면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암면이 사용된 제품으로는 암면펠트, 암면판, 흡음판 등이 있습니다.
퍼라이트
퍼라이트는 진주암, 흑석을 가루로 간 후 구워 만든 것을 말하는데 내부에 미세한 구멍을 가진 회백색의 색을 띤 입자입니다. 경량골재로 모르터 바름, 플라스터 바름에 사용되며 시멘트로 만들어진 판상제품도 있습니다. 퍼라이트는 경량, 단열, 흡음, 보온, 내화 등 특성을 가져 다른 재료와 섞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함께 섞어 사용되는 재료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용도와 만드는 방법은 아래에서 이야기할 질석과 비슷합니다.
석면판
석면판은 슬레이트나 석면 시멘트판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며 석면을 무기질 결합제로 결합시켜 판상으로 만든 것입니다. 석면판은 불연재일 뿐 아니라 목재와 비슷할 정도로 무게가 가볍고 가공성이 좋아 과거에는 단열재료로도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석면의 위험성이 알려지며 2009년부터 모든 석면 제품의 사용뿐 아니라 제작, 수입이 금지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석면을 철거 및 해체할 때 꼭 허가업체가 철거 및 해체를 진행해야 합니다.
질석
질석은 흑운모에 급하게 열을 가했을 때 5-6배로 팽창되며 만들어진 다공질 경석을 말합니다. 퍼라이트같이 가볍고 단열과 흡음, 보온이 잘됩니다. 내화성질을 가지고 있어 질석 모르타르, 질석 플라스터로 벽면에 바르거나 붙이는 데 사용합니다.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재료 목재란? 목재의 장점과 단점, 단점의 보완법 (1) | 2023.04.17 |
---|---|
건축재료로의 점토, 세라믹 (1) | 2023.04.16 |
석재의 장점과 단점, 물리적 성질, 화학적 성질 (0) | 2023.04.14 |
건축재료 석재의 정의, 구성, 분류 (0) | 2023.04.13 |
콘크리트 제품의 특징과 종류 (0) | 2023.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