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건축 미장 바탕의 종류와 처리방법

by 이높은 2023. 5. 9.

 

건축 미장을 하는 바탕의 종류에는 콘크리트 바탕, 벽돌목 및 콘크리트 블록 바탕, ALC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탕, 매탈라스 바탕, 와이어라스 바탕, 석고보드 바탕, 목모 시멘트판 및 목편 시멘트판 바탕, 외 바탕, 졸대 바탕 등이 있습니다. 각 미장 바탕의 종류와 처리방법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콘크리트 바탕

 

콘크리트 바탕은 거푸집을 제거 한 뒤 콘크리트 면에 유해물질이 남아있지 않아야 하고 균열이나 요철 등이 없어야 합니다. 다듬질을 할 필요가 있는 곳은 미리 면을 다듬어 평활하고 깨끗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설계변경이나 기타 원인으로 인해 바름두께가 25mm 이상으로 두꺼워질 경우는 용접철망 등을 설치해 콘크리트를 덧붙여 타설해야 합니다. 또한 미장바름에 지장을 주는 나무부스러기나 철근간격재와 같은 것은 제거하고 구멍은 모르터 등으로 메꾸어줘야 하며 콘크리트의 이어 치기나 타설기간의 차이로 이어 치기 된 부분은 누수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방수처리를 해 두어야 합니다. 콘크리트의 바탕면이 지나치게 매끄러울 경우 미장재료의 부착력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정이나 철로 된 솔로 표면을 거칠게 해주기도 합니다.

 

벽돌 및 콘크리트 블록 바탕

 

콘크리트 블록과 벽돌 쌓기의 줄눈의 형태는 미장바름의 종류 및 바름두께에 맞춰 적합한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콘크리트 블록은 적용된 미장바름과 비교했을 때 강도나 강성이 우수한 것으로 사용해야 하며 줄눈 나누기 등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건조나 습도에 따라 신축성이 적은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물 뿌리기 역시 미장재료의 경화과정이나 보수성, 흡수율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ALC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탕

 

ALC 접합부의 경사, 이음새 및 주입 모르터의 흘림 등은 패널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손상시키지 않도록 제거해야 합니다. ALC패널을 갈고리 볼트나 기타 철물을 사용하거나 설치 철물과 내화접착제를 함께 사용하여 이음새가 없도록 내화피복제로서 설치해야 합니다. 외벽 접착부의 줄눈이나 새시 둘레 등은 미장바름을 시작하기 전 실링재를 이용해 틈이 없도록 작업해야 합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탕은 조립할 때 손상되었거나 파손된 부분이 없도록 미리 보수한 뒤 작업해야 합니다. 바탕 표면의 거푸집 박리제나 박리 시트 등 미장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부착물을 모두 제거해야 합니다. 패널의 접합부는 콘크리트나 모르터로 채우고 작업해야 합니다.

 

매탈라스 바탕

 

메탈라스 바탕에는 KS F 4552에서 지정한 평메탈라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지름 2.6mm 이상의 강선을 메탈라스의 힘살로 사용하여야 하고 지름 1.6mm, 길이 25mm 내외의 철선으로 된 갈고리 못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메탈라스는 가로, 세로 300mm 내외여야 하고 천장은 갈고리 못 치기를 150mm 내외로 해야 하며 접합부는 450mm 이상 겹쳐져 있어야 합니다. 힘살을 사용할 때 끝단은 기둥이나 샛기둥받이에 닿게 하고 가로는 450mm 내외로 겹쳐대서 교차하는 부분과 중간 부분에 갈고리못을 하나씩 쳐야 합니다.

 

와이어라스 바탕

 

와이어라스는 KS F 4551에 합격한 것으로 사용하여야 합니다. 만약 별도의 지정이 없다면 귀갑형 와이어라스로 사용합니다. 와이어라스의 힘살은 지름 2.6mm 이상의 강선으로 하고 갈고리 못은 지름 1.6mm, 길이 25mm 내외의 철선을 사용합니다. 와이어라스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보통 세로 치기를 합니다. 가로이음은 가로눈 꿰매기로 하고 세로이음은 철망 1코 겹치기로 힘살을 넣습니다. 라스를 치는 방법은 간격 300mm 내외로 갈고리못을 사용해 칩니다. 모서리가 나온 곳은 돌려 치고 들어간 구석은 150mm 내외로 메탈라스를 잘라 양 끝의 바탕재에 갈고리 못 치기를 한 후, 그 위에 와이어라스를 치고 힘살을 구석에서 꿰매는 형식으로 넣습니다. 힘살을 사용하는 경우 세로는 기둥 및 샛기둥에 닿게 하고 가로는 간격 450mm 내외로 꿰매 누벼 넣거나 덧대고 교차하는 부분이나 그 중간에 1개씩 힘살에 둘러싸인 라스 부분의 중앙에 갈고리 못 치기로 진행합니다.

 

석고보드 바탕

 

석고보드는 KS F 3504, 석고라스보드는 KS F 3505에 합격한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두께는 9mm 이상의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보드용 평머리 못이나 기타 설치용 철물은 용융아연 도금이나 유니크롬 도금이 된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목조 바탕의 띠장 간격은 450mm 내외로 하고 기둥이나 샛기둥에 따넣어 못 치기로 합니다. 이음은 보드 받음재 위에서 하고 주위는 보드용 평두못을 쳐 고정시킵니다. 목조 천장바탕에 반자틀 간격은 300mm 내외로 합니다. 보드의 설치는 반자틀 면 내에서 이어주고 주위는 100mm, 기타 받음재 마다 간격은 150mm 내외로 보드용 평머리 못을 사용해 고정시킵니다. 경량철골 바탕의 칸막이 벽 등에서는 기둥, 샛기둥의 간격을 450mm 내외로 합니다. 보드의 설치는 가로로 엇빗잇기 하고 주위는 기둥이나 샛기둥마다 100mm 내외로 나사못 박기 하며 보드의 위와 아래 접속은 간격 150m 내외로 이음 철물을 사용해 고정시킵니다. 또한 기둥과 샛기둥마다 150mm 내외로 보드용 평두나사못을 사용해 고정시킵니다. 경량철골 천장 바탕에는 반자틀받이의 간격을 900mm로 하고 반자틀의 간격은 300mm 내외로 해 보드의 이음부 받이를 합니다.

 

목모 시멘트판 및 목편 시멘트판 바탕

 

목모 시멘트판은 KS F 4720에 적합한 두께 15mm 이상의 굵은 목모 시멘트판을 사용합니다. 목편 시멘트판은 목편과 시멘트를 원료로 압축 성형한 것을 말하는데 두께 30mm 이상의 것을 사용합니다. 목모 시멘트판과 목편 시멘트 판의 설치용 밑판과 갈고리보트는 아연도금으로 사용합니다. 

 

외 바탕

 

라스라고도 불리는 외 바탕에 사용하는 재료는 대, 줄기가 곧고 가는 나뭇가지, 수수깡 등으로서 직경 40~60mm로 쪼개 만든 것을 사용합니다. 외대를 묶는 새끼는 종려나무, 삼, 짚 등으로 합니다.

 

졸대 바탕

 

졸대 바탕은 벽, 천장 등에 졸대 등을 박아 미장바름 바탕으로 하는 것입니다. 졸대의 이음은 받이재 중심에서 6mm 내외로 떨어져서 이어주고 졸대 6개 이내마다 이음자리를 엇갈림으로 합니다. 졸대의 방향은 받이재에 대해 직각 또는 수평으로 줄 바르게 대고 7mm 정도의 간격으로 뒤틀리지 않고 충분히 건조된 것을 사용해야 하며 못을 박을 경우 반드시 2개씩 박아야 합니다.

 

기타 바탕

 

재질이 견과지 못한 스터코 등의 바탕일 경우 모서리 부분은 철망(메탈라스, 와이어라스)을 덧대고 코너비드로 보강합니다. 단열을 필요로 하는 바탕일 경우 반사용 알루미늄 박판을 붙입니다. 바탕을 지지하는 재료가 금속지주일 때는 구조체의 이동이나 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격리시켜서 설치해야 합니다. 또 구조체와 바탕재의 지지틀 사이에 미끄럼 또는 탄성형의 줄눈을 설치하여 변형을 흡수하도록 하되 횡방향은 연결시키도록 해야 합니다.

댓글